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관심있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썬시티카지노
읽음
IEEE Transactions에 논문을 투고한 후 석 주 동안 "AE: Not Assigned; ADM: ***; Submitted"이었다가 지금 "AE: Not Assigned; ADM: ***; In Peer Review"로 바뀌었어요. AE없이도 Peer Review가 진행되나요? ADM이 AE도 겸한다는 소리인가요?
교신 저자(corresponding author)를 위한 완벽 가이드
읽음
많은 연구자들은 학술 출판 여정의 어느 시점에서 교신 저자로서의 역할을 맡게 되지만, 교신 저자로서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지침을 받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교신 저자(corresponding author)가 된 연구자들을 위한 완벽 가이드가 여기에 있습니다!
깐깐한 피어 리뷰어의 피드백
읽음
연구자가 피어 리뷰 의견을 다루는 방법은 원고 게재를 승인할지 거부할지에 대한 저널 편집자의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응 전략을 가지고, 피어 리뷰어의 의견을 효과적이고 신중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핸드북은 연구자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중하게 전달하면서 가능한 한 최선의 방법으로 동료 검토 의견에 응답하는 방법을 익히고자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안내서입니다.
[무료 다운로드 핸드북] 피어 리뷰어가 원고를 효과적으로 비평하기 위한 모범 사례
읽음
잘 수행된 피어리뷰(동료평가)는 수준 높은 연구 논문 및 연구보고서가 출판이 되고, 저자들이 학술 출판의 필수 표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많은 연구자들, 특히 경력 초기 단계의 연구자들은 피어리뷰 수행에 대한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합니다. 이 무료 핸드북은 피어리뷰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훌륭한 출발점입니다.
피어 리뷰 주간 2021: 학습과 통찰, 참여의 순간
읽음
피어 리뷰 주간 2021은 에디티지 인사이트 팀의 활동으로 가득 찬 이벤트였습니다. 이제 행사를 끝내고 되돌아보건대, 올해 우리가 얼마나 놀라운 배움과 통찰력, 그리고 참여의 순간들을 만났었는지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여러분과 이를 간략하게 공유하려고 합니다. 
[무료 핸드북] 피어 리뷰어로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방법
읽음
우리는 피어 리뷰가 얼마나 보상을 받지 못하는 일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오픈 피어 리뷰, 혹은 리뷰어가 들인 시간과 전문성에 대해 보상을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무료 핸드북을 통해 연구자가 피어 리뷰 경험을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세요!
[인포그래픽] 영어 논문에서 저널 편집자가 꼭 확인하는 5가지
읽음
여러분이 첫 영문 원고를 작성하는 연구자인 경우 (이미 여러 논문을 게재한 경우라도), 투고 논문을 평가할 때 국제 저널 에디터가 논문의 어떠한 요소에 초점을 두는지 알고 있습니까? 논문 투고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체크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재미있는 인포그래픽이 있습니다!
한국 피어 리뷰어는 글로벌 피어 리뷰 커뮤니티의 일원일까? – 5명의 연구자 의견
읽음
피어 리뷰 주간 2021의 마지막 날이 밝았습니다! 피어 리뷰 주간 2021의 대단원을 유의미하게 마무리하기 위해, 우리는 피어 리뷰에서의 정체성 문제 관해 한국 연구자들에게 다음 질문을 던졌습니다. "한국 피어 리뷰어가 글로벌 피어 리뷰 커뮤니티의 일원이라고 느끼시나요?" 초기 경력 연구자부터 시니어 연구자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한국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세요.
피어 리뷰에서 지역적 다양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읽음
비전통적인 연구 생산국의 저자 비율은 지난 몇 년 동안 상당히 증가했지만, 이들 지역의 피어 리뷰어 비율의 증가는 보조를 맞추지 못했습니다. 피어리뷰에서 지역적 다양성을 달성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이를 달성함으로써, 피어리뷰와 관련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요?
피어 리뷰에서의 다양성의 역할, 그리고 한국 연구자의 위치: 저자의 시각에서
읽음
'피어 리뷰 주간 2021'이 이제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저널 에디터의 시각에 이어 오늘은 저자의 입장에서 바라 본 피어 리뷰에서의 다양성의 역할, 그리고 한국 연구자의 위치에 대한 생각을 살펴봅니다. 현재 스위스 로잔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는 이대한 연구자 님이 목소리를 공유해주셨습니다!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