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Results 21 - 30 of 265

검색결과

Free Content
기사

벨라벳 [논문작성법] 결과 및 토론 항목 작성 방법 |

이 포스팅의 렛 잇 라이드작성법 첫 부분에서는 전형적인 IMRaD 포맷 (서론, 소재 및 방법론, 결과, 토론)으로 이루어진 연구렛 잇 라이드에서 서론, 소재와 방법론 항목에 들어가야 할 요소들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했습니다. 이번에는 결과, 토론 항목에 대해 논의해 보겠습니다. 결과 항목: 결과 항목은 “W-H-A-T” 이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항목에서는 연구 결과만을 밝히고, 의견 및 설명은 토론 항목으로 넘기십시오. 필요 시 표, 차트 등을 사용하지 ...

날짜: 2014년 08월 20일
Free Content
Q&A 포럼

바카라사이트 문헌 검토 시 어떤 주장을 먼저 한 다음에 근거를 찾는 것이 정당합니까?

Language Korean 연구자의 렛 잇 라이드 집필 방식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우선 배경 설명을 하자면, 제가 아는 한 연구자는 서문과 기존 문헌 검토 항목을 작성할 때, 먼저 어떤 가정을 한 다음에 이 가정을 기반으로 주장을 합니다. 그의 추측이 때로는 너무나 구체적인 경우도 있다는 점도 덧붙여 설명해야 하겠습니다.  이 연구자는 그 다음에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찾기 시작합니다. 저는 여러 번 그것은 렛 잇 라이드을 쓰는 올바른 방식이 아니라고 이야기하며 ...

날짜: 2014년 08월 22일
Free Content
기사

[렛 잇 라이드작성법] 감사의 말(Acknowledgment) 쓰는 방법

서론작성법 / 결과작성법에 이어 금일은 "감사의 말(Acknowledgment) 쓰는 방법"에 관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감사의 말(Acknowledgment) 쓰는 팁] 연구 논문에서 감사의 말은 아마 가장 쓰기 쉬운 부분일 겁니다. 누가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잘 알고 있으니 이름을 나열하는 게 어려울 리가 없지요. 하지만, 이렇게 쉬운 감사의 말이라 해도 때로는 생각보단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다음은 감사의 말 항목을 작성할 ...

날짜: 2014년 08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온라인 카지노 사이트 연구자가 지켜야 하는 참고문헌 인용법

올바른 포맷, 그리고 정확한 인용 및 참고문헌 작성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용 표시의 정확성입니다. “저자1과 저자 2(2013)는 화학물질 xyz의 0.5% 용액을 사용해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author1 and Author2 (2013) used a 0.5% solution of chemical xyz and obtained remarkable results)” 고 쓰고 이에 해당하는 자세한 출처를 참고문헌 항목에 정확하게 기재했는데, 원 논 ...

날짜: 2014년 09월 25일
Free Content
기사

온라인 카지노 합법 사이트 논문 게재 거절로 이어질 수 있는

저자라면 누구나 렛 잇 라이드을 출판하고 싶어합니다. 하지만 참신하고 독창적인 결과를 가진 렛 잇 라이드이라 해도 집필 과정에서의 기초적인 실수 때문에 출판을 거절당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사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서론, 실험, 결과, 토론, 결론 항목에서 다음과 같은 실수들을 조심하십시오.  1. 서론에 중요한 참고문헌이 빠진 경우: 대부분의 참고문헌은 서론에 등장합니다. 일반적으로 저널마다 참고문헌 개수는 30개, 60개 등 일정한 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또, 많 ...

날짜: 2014년 09월 29일
Free Content
기사

좋은 렛 잇 라이드 제목 작성을 위한 3가지 팁

English 이 글에서는 렛 잇 라이드 작성의 가장 기초적이면서 중요한 측면인 제목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렛 잇 라이드의 제목을 정하는 것은 단순한 일처럼 보이겠지만 사실은 많은 생각이 필요한 작업입니다. 독자들은 데이터베이스 검색이나 렛 잇 라이드의 참고문헌을 통해 렛 잇 라이드 제목을 접하는데, 이때 렛 잇 라이드의 주제와 본인 연구와의 관련성 등을 제목을 통해 추론하게 됩니다. 즉 여러분의 렛 잇 라이드 제목은 독자 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이 틀림없습니다. 좋은 렛 잇 라이드 제목이란: 렛 잇 라이드 ...

날짜: 2014년 10월 07일
Free Content
기사

아벤카지노 [영문법] 연구 논문에서 과거시제와 현재시제 사용

영어에는 다양한 시제 구분이 있지만, 연구 렛 잇 라이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시제는 단순과거와 단순현재이며, 이를 현재완료와 과거완료가 보충합니다. 여기서 ‘완료’란 동작이 완성되어 끝이 났다는 의미로, ‘완료시제’는 두 가지 사건의 시간적인 관계를 특정할 때 사용합니다. 전형적인 연구렛 잇 라이드은 IMRaD 포맷을 따르며, 이때 시제는 항목마다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서론에서는 현재시제와 과거시제가 함께 사용되고, 결과 항목에서는 과거시제가 주로 사용됩니 ...

날짜: 2014년 10월 10일
Free Content
기사

홀덤 핸드 논문 집필에 사용되는 다양한 영어

저널 출판, 특히 “과학, 기술, 의학”의 약자인 STM 저널 출판은 미국, 영국, 유럽의 몇 출판사의 전유물이며, 이들 저널에서 인정하는 영어는 적어도 스타일에 있어서는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가 전부입니다. 스타일 상의 차이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 사소합니다. 예를 들면, 중요한 단어의 첫 자를 모두 대문자로 쓰는 “헤드라인 스타일”이나 제목 바로 아래 등장하는 단락의 첫 줄 들여쓰기는 미국에서는 흔치 않은 영국식 스타일입니다. 많은 저널에서, ...

날짜: 2014년 10월 20일
Free Content
Q&A 포럼

히어로토토 초록에 통계 요소를 넣을 때 따라야 하는 규칙은 무엇인가요?

Language Korean 논문을 저널에 투고하기 전 동료 두 사람에게 조언을 부탁했습니다. 한 동료는 논문 초록에 통계 데이터를 넣어서는 안 된다고 했고, 또 다른 동료는 초록에 통계 정보가 충분치 않다고 했습니다. 누구의 말이 옳을까요? 초록에 통계 요소를 넣을 때 따라야 하는 규칙은 무엇인가요? 정말 좋은 질문입니다! 질문자 분의 걱정이 이해됩니다. 저널마다 논문 초록 내의 통계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무척 다르니까요. <전염병 관리 국제 저 ...

날짜: 2014년 10월 24일
Free Content
기사

케이카지노 과학 논문에서 “woman”과 “female” 구분해서 사용하기

최근 들어 인류를 나타내는 “ man kind”를 “ human kind”로, 의장을 의미하는 “chair man ”을 “chair person ”으로, 노동력을 나타내는 “ man power”를 “ work force”로 (또는 “human resource,” “labour force”, “personnel” 등의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대체하는 것이 통상적입니다. 저자가 젠더 특정적인 용어를 사용했다 할지라도, 교정자가 이를 보다 적절한 젠더 중립적 ...

날짜: 2014년 12월 03일

3표와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