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ethics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관심있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15Skip to main content
기사
| 2015년 04월 30일
1학술주요토픽
세계보건기구(WHO)는 임상 시험을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도덕적, 윤리적 책임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임상 시험 결과 공개에 대한 성명 (Statement on Public Disclosure of Clinical Trial Results) 을 발표했습니다. 이 성명에 따르면, 과거에 이루어진 시험을 포함해 모든 임상 시험의 결과는 참여자들의 사전 서면 동의를... 사이다토토 세계보건기구(WHO), 모든 임상시험의 결과 보고 요청 | Editage Insights
15Skip to main content
기사
| 2015년 06월 01일
최근 생체 해부 반대를 위한 유럽 시민 이니셔티브(ECI)로 EU집행위원회에 EU 가입국 중 26개국이 참여한 120만 건의 지지서명을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ECI의 이러한 발의에 학술단체, 유명 대학, 환자 단체 등 149개 세이벳 단체가 확고히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프리미엄
기사
| 2015년 07월 31일
“특허 괴물(Patent trolls)”이라는 문제가 수십 년째 세이벳의 혁신에 해악을 끼쳐왔습니다. 그런데, “특허 괴물”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 것일까요? 대학 역시 이러한 특허 괴물일까요? 이 글에서는 ‘특허 괴물’의 모든 것을 설명하고, 특허 괴물이라는 세계적 현상이 가진 법적, 경제적 악영향을 알려드리는 동시에 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자세히보기
15Skip to main content
기사
| 2017년 07월 03일
약탈적 세이벳사(predatory publisher)는 일반적으로 필수적인 피어 리뷰 과정을 생략하고 저자에게 게재료를 부과하거나 세이벳을 보장하는 세이벳사를 말합니다. 약탈적 세이벳사의 주장은 연구자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쉽고 보장된 세이벳 경로)을 얻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연구자는 쉽게 가짜 세이벳사의 희생양이 될 수 있습니다.
15Skip to main content
Podcast
| 2022년 09월 23일
All Things SciComm 팟캐스트의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연구 진실성 독립 컨설턴트이자 전 저널 편집자인 지기샤 파텔(Jigisha Patel)이 연구 진실성과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 피어 리뷰가 연구 진실성을 유지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 저널, 세이벳사 및 기타 관계자들이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를 게시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라이프벳 연구 진실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 가능한 피어 리뷰 프로세스 구축 - 지기샤 파텔155_word_end과의 대화
15Skip to main content
Q&A 포럼
54Skip to main content
연구윤리의 중요성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