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에디티지 인사이트에 등록하시고 관심있는
기사를 마이 라이브러리에 담아보세요.
토토 바카라
읽음
에디 박사님, 저희 연구팀이 두 편의 논문을 썼는데 “초록(Abstract)”과 “방법론(Methodology)”이 유사하지만 “재료(Materials)”와 그 “적용(Application)”은 다릅니다. 둘 중 한 편을 한 달 전 저널에 투고했고 현재 “리뷰 중(Under Review)” 상태입니다. 나머지 한 편을 같은 저널에 제출해도 윤리규정에 어긋나지 않을까요? 조언과 지도 부탁드립니다.
토토 바카라
읽음
논문 작성 지원 서비스를 받고 금전적 대가를 지불했을 때 논문사사(acknowledgments)를 기재해야 할까요?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토토 바카라
읽음
논문 품질과 리뷰 속도 사이에 관계가 있나요? 논문 두 편을 각각 다른 저널에 투고했는데, 비슷한 시점에 다른 동료들도 같은 저널에 논문을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동료들의 논문은 몇 달 내로 승인을 받았지만 제 논문은 아직도 리뷰 중입니다. 1차 결정도 통보받지 못했고요. 저널 A에 논문을 투고한 동료들은 한 달 내로 승인을 받았는데 지금 제 논문은 한 달하고도 10일째 리뷰 중입니다. 저널 B에 논문을 투고한 동료들은 3개월 내로 승인을 받았는데 제 논문은 4개월이 넘었는데도 리뷰 중이고요. 왜 제 논문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걸까요? 혹시 제 논문 품질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걸까요? 아니면 그냥 운이 안 좋아서인가요?
토토 바카라
읽음
저널 대부분은 참신한 논문만을 출판한다고 합니다. 제 논문이 참신한지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까요? 또, 제가 연구하는 분야의 최신 소식을 잘 파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토토 바카라
읽음
얼마 전 Wiley에 논문을 투고했습니다. 그런데 2주째 “under consideration” 이라는 상태 메시지가 떠 있습니다. 그럼 제 논문이 피어리뷰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는 뜻인 걸까요? 원고 심사 과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연구를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제게는 이번이 첫 논문인 탓에 안절부절못하고 있습니다.
사례연구: 표절 의혹을 받은 저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읽음
한 저자의 논문이 데이터 표절 의혹으로 심사에서 탈락했습니다. 3명의 리뷰어 중 2명이 긍정적이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었지만, 3번째 리뷰어는 저자의 데이터 일부가 기존 연구에서 표절한 것이라며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모든 실험을 직접 수행했으며 전체 데이터를 직접 도출해내었던 저자는 이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이 저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토토 바카라
읽음
저널을 선택할 때, 이 저널에서 출판한 논문 중 제 연구분야의 모든 논문을 인용해야 하나요? 또, 이 저널의 입장과는 상관없이 저의 의견을 가장 잘 표현한 논문만을 인용해도 될까요? 논문 승인을 고려하기 전에 저널 편집자가 하는 질문은 무엇입니까? 저널에 논문을 출판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기준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저널 웹사이트와 투고 시스템상의 가이드라인이 상이한 경우 - 케이스 스터디
읽음
한 저자가 에디티지의 도움으로 원고를 교정하고 저널 선택과 투고를 위해 에디티지 출판 지원 서비스의 힘을 빌렸습니다. 에디티지에서는 저널을 선택한 뒤 이 논문이 저널에서 밝힌 저자 가이드라인의 요건을 모두 갖추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저자가 온라인 투고 시스템을 통해 원고를 투고하려고 하자 시스템에서 원고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타켓 저널을 고를 때 참고해야할 12가지 팁
읽음
저널을 선택하는 일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론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저널을 선택하는 것이야말로 저널 출판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기에 중요합니다. 투고저널을 선택하는 데는 고려해야 할 점이 많습니다. 저널 임팩트 팩터를 가장 우선하여 고려할 것인지 출판이 가장 이른 것을 선택할 것인지, 저널 프로세스는 어떤지 등이 있죠. 아래 인포그래픽을 통해서 타겟 저널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12가지 팁을 확인해보세요.
토토 바카라
읽음
연구자가 여러명이고, 독립적인 medical writer가 원고를 작성하여 저자 (연구자)들이 회람한 경우 연구비 및 Medical writing 비용을 지원한 스폰서에서 논문 투고를 진행하여도 상관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Anonymous
  • 2015년9월17일
  • 조회수 16,90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