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here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나 척도의 정의를 논문에 작성해야 하나요?

만약 논문에서 학생들의 불안도 측정을 위한 척도를 사용했다면, 이와 관련한 정의를 세부적으로 서술해야 할까요(어떤 척도를 사용했는지, 어떻게 활용했는지)? 혹은 그냥 불안도 측정을 위해 이 척도를 사용하였다고 언급하기만 해도 될까요?

만약 ‘해밀턴 불안 척도(Hamilton Anxiety Rating Scale, HAM-A)’나 ‘범불안장애 검사(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ssessment, GAD-7)’와 같이 잘 알려진 척도나 도구를 사용했다면, 이에 대한 세부 없이 언급만하셔도 괜찮습니다. 같은 분야에 있는 검토자와 독자들은 이에 익숙할 테니 설명은 불필요하지요. 만약 축약어라면, 첫 문장에서 전체 이름을 언급하시고 다음에는 축약된 단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새롭거나 덜 유명한 척도 혹은 도구를 사용하셨다면, 간단한 설명을 해주시는 게 도움이 될 겁니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면, 보충 자료에 포함시키실 수 있겠습니다.

스크랩하기

해당 기사를 스크랩해보세요!

지식은 모두에게 함께 공유되어야 한다는 것이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이념입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기사는 Creative Commons license로 재포스팅 및 스크랩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가이드라인만 유념해주신다면 언제든지 무료로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의 지식을 가져가실 수 있습니다!


  • 주의 : 에디티지 학술 전문가들은 해당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기사를 스크랩 및 재포스팅 하실 때는 명확한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재사용: 이미지를 원본이 아닌 편집 재사용하실 때는 에디티지 인사이트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코드를 복사하셔서 기사 공유를 원하시는 사이트에 적용하시면 에디티지 인사이트 기사를 가장 쉬운 방법으로 공유하실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복사하시어 원하시는 곳에 다시 포스팅 하실 수 있습니다.

27Skip to main content